교과목안내

2학년 교과목안내

교과명(국문) 교과명(영문)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y
사회복지실천의 근본적인 이념, 가치, 목적을 규명한 뒤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개입하는 사회복지실천의 공통적인 기반을 확인하며 면접, 의사소통, 사정, 관계 등 통합적 접근의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Students can learn the ideals, theories, values, and purposes of social work practice from the class. Also they can cofirm the common grounds of individual, family, group, and community work and acquire the basic knowledge and skills for interview,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 with diverse clients based on integrative approach.
아동청소년상담 Counsel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본 강좌에서는 학교적응문제, 학습문제, 진로 및 진학문제, 가족관계적 문제, 성격 및 정신적인 문제 등 다양한 아동 및 청소년기의 문제들에 대해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하여 적절한 상담의 방법을 배운다.

This course deals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actical intervention skills for various problems including school maladjustment, learning disabilities, career development, family relations, personality and mental disorders, and etc.
가족관계론 Family Relations
본 강좌는 사회과학으로서의 가족관계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계로서의 가족과 가족관계 분석을 위한 지식을 배우고,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등 다양한 가족 내 하위체계 역동에 대해 살펴보며, 가족관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사회적 지원망에 대해 검토한다.

Family relations deals with family system as subject of social science, and examines the nature of diverse relationships within family. This course is the pre-requisite for family counseling, family welfare and theories of healthy family.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본 교과목은 집단상담의 개념 및 과정, 집단역동과 개입기술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함께 집단상담자의 특성과 역할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This course covers concepts related to group counseling, process of group counseling, group dynamic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group counseling, and the role and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group counselors.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론은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제도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사회복지정책담당자의 이슈들을 사전에 인식하는 방법을 다룬다. 학생들은 사회복지정책의 주체와 대상 그리고 사회급여 재정 및 조직에 대해서 이해하고 학습한다.

The goals of this lecture would be well studied of social polict and social welfare system. This lecture has previously dealt with the issues facing social adminisrators. Students made understanding and helpfulness the tasf possible to the object and the subject, the social benefit, the finanace and the organization of the social policy.
상담이론 및 실제 Theories and practice of Counselling
현대사회 전문상담의 기본적 배경이 되고 있는 상담심리학의 이론들을 학습하고, 각 이론의 특징적인 인간관과 상담의 과정 및 기법들을 사례를 통해 이해하며 학습자 자신의 성장은 물론 타인을 돕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Counseling Psychology deals with grounded theories and practices for counseling with clients in various situations of social and family context.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이상심리는 불안장애, 우울장애, 조현장애, 성격장애 등 다양한 정신장애들의 특성과 그러한 장애의 발생원인, 치료 및 예방의 방법들을 다양한 이론들을 통하여 배우며, 실제 사례들을 통하여 구체적인 치료기법들을 배운다.

This course deals with symptoms and signs of various mental disorders such as anxiety, depressive, schizophrenic, and personality disorders, and etiological theories, therapeutic and preventive menthods for each mental disorders, along with specific case studies.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사회사업 실천의 구체적인 기법과 기술을 학습함으로써 일반적인 적응과 활용능력을 함양하며, 특히 개인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되 전문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여 실천분야에서 요구되는 능력있는 사회사업가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Social welfare skills and techniques are needed to apply social service fields and clients to give direct and indirect service. To be a confident professional social worker, there are basic knowledges to keep clients their various needs.
사회복지조사론 Social Welfare Research
사회복지에 있어서 과학적인 지식을 수립하는 기본적인 방법인 사회조사의 이론과 절차를 학습하고, 조사의 방법론과 구체적 방법을 터득하여 실제적인 연구에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teach the theories and procedure of social research which is the basic method in building the scientific knowledge of social welfare. It is also to enhance the practical capacity by learning the methods and methodology of research in social welfare.
가족복지론 Family Welfare
현대사회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가족문제와 그에 대한 개입 방안을 탐색한다. 또한 한국의 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 전달과정 등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들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에 대한 사정, 개입과정 및 개입 방안을 학습한다.

Family Welfare examines the history of family welfare, the critical issues facing families in our society, the scope of family welfare services, and the social, political, legal and economic forces that shape family and children programs.